2학년/의약품분석학3 1-2 화학평형 - 3) 산염기와 물의 해리 1. 산/염기의 정의 산(acid)염기(base)Arrhenius 산염기수용액에서 H+를 내놓음수용액에서 OH-를 내놓음Bronsted-Lowry 산염기양성자주개양성자받개Lewis 산염기전자쌍받개전자쌍주개1) 아레니우스 산/염기 (수용액에서만 설명가능) 산: H+ 포함 -> 수용액에서 H+ 생성 염기: OH- 포함 -> 수용액에서 OH- 생성 산과 염기가 반응하면 -> 물과 염을 생성하는 중화반응(neutralization)을 한다. * 수용액에서 이온화된 수소 원자는 H3O+(hydronium ion)으로 존재하지만, 편의상 H+(proton)라고 쓴다. 2) 브뢴스테드-로우리 산/염기 산: 양성자주개(proton donor) 염기: 양성자받개(proton acceptor)A B + H+ 산 염기 + .. 2023. 12. 28. 1-2 화학평형 ( pc인터넷 환경에서 보시면 수식이 제대로 보입니다 ) 1. 평형상수 A + B ↔ C + D 라는 반응에서, 열역학 제2법칙 (반응의 자발성, 방향성 결정) 에 따라 자유에너지 변화량을 표현하면 다음과 같다. \(\Delta G=\Delta G^{\circ }+RT\ln \dfrac{\left[ C\right] \left[ D\right] }{\left[ A\right] \left[ B\right] }\) 여기서 R은 기체상수, T는 절대온도, 델타G는 자유에너지 변화량이다. \(\Delta G^{\circ }\)는 반응물과 생성물의 표준생성자유에너지의 변화량(델타값)이다. 식에 의해 구할수있음 여기서 \(\Delta G\)는 이 반응의 추진력이다. 어느 시점에 이르러 추진력을 잃게 되면 \(\Del.. 2023. 12. 22. 1-1 화학분석과 용액의 농도 1. 정성분석과 정량분석 정성분석(qualitative analysis): 특정물질(원자단, 관능기 등)이 존재하냐를 분석 정량분석(quantitative analysis): 특정물질이 시료중에 얼마나있는지 (함량) 를 분석 2. 시약과 표준물질 시약(reagent): 순도가 높은것 -> 불순물에 의한 오차를 최소화 (규격, 순도, 불순물의 한도 명시) 시약의 종류: 1) 일반용시약, 2) 분석용시약, 3) 특수용시약 분석용시약의 예시로 고순도의 NaCl, KHP, 삼산화비소 등 1차표준물질로 쓰이는 것들이 있는 것임 -> 표준물질! 순도가 매우 높은 표준물질 (99.95% 이상) 로 표정(standardization)한 표준액(standard solution)으로 미지물질의 순도/농도를 측정한다. 3... 2023. 12. 21. 이전 1 다음